우선 시작 전에 라자몰리가 누군지 간단히 소개하자면, 바후발리 시리즈와 RRR의 감독이자 봉준호의 기생충을 보다가 지루해서 잤다고 언급한 감독이다(ㅋㅋ). 톨리우드 시장의 거장이기도 하고. 그리고 나는 라자몰리의 바후발리2와 RRR을 좋아하는 축에 속함... 바후발리2의 경우에는 10회차를 넘겼으니 내 최다회차 정주행 영화일 듯.
저 두 영화를 좋아한 이유는 라자몰리가 주인공들의 웅장한 연출을 굉장히 잘 말아준다는 사유.
사실 내 경우 라자몰리 영화를 바후발리 시리즈와 RRR밖에 보지 못하긴 했지만, 그것만으로도 라자몰리의 뚝심있는 연출이나 액션 취향이 보이는데다가 노래까지 흥겹고 중독성이 있다는 점에서 호감이었음. 누군가의 취향이 짙게 묻어난 작품은 언제 봐도 즐거우니까... 그러나......
그 렇 지 만
나는......라자몰리 감독 개인을 싫어함!!!!!!!!!!!!!!!!!! 작품은 좋아하는데 감독은 싫어하다니 처음인 일도 그다지 놀라운 일도 아니지만 이 경우엔 특히나 심경이 복잡해지는 것임... 그야 이 인간은 카스트 제도 옹호론자다...
ㄴ왜 아직도 카스트 제도 옹호론자가 살아있나요?
ㄴ그러니까 말입니다
더군다나 내가 바후발리2는 추천해도 1까지 추천하지는 않는 이유가 바후발리1에서 특히 모 여성캐릭터를 그려내는 방식을 보고 굉장한 불쾌감을 느꼈기 때문임
아무튼 그렇게 라자몰리에 대한 악감정을 가지고 살아오던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 마침 23년도에 올라온 라자몰리 넷플 오리지널 다큐가 있길래 봄. 라자몰리를 싫어하면서도 왜 다큐를 봤느냐고 묻는다면, 난 라자몰리에게 일말의 기대감을 가졌던 게 아닐까?싶음. 그야 그 전까지 본 소식들이 죄다 오래된 것들 뿐이라... 지금쯤 생각을 바꾸고 사상을 고쳐먹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하면서 본 것 같음.
그러나 보기 전부터 생각을 했어야 했다... 애시당초 라자몰리의 가장 최신 작품인 RRR(22년도 작품)을 향한 무수한 호평 속에도 라자몰리가 자기 사상을 녹여담은 게 아니냐는 비판이 존재했다는 걸................ 그래서 그 당시의 내가 라자몰리에게 상당히 열받았었다는 것도........
결과적으로 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라자몰리에 대해 호감을 가졌냐고 묻는다면 단연 아니. 임.
오히려 더욱 싫어졌다는 것에 가까울 듯(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거 인터뷰어가 직접적으로 카스트제도 이야기나 바후발리1의 비판 건 (나도 몰랐는데 1에서 주인공이 모 여성캐릭터의 동의 없이 희롱한 씬이 이미 현지나 해외에서도 비판 받았던 장면이었나 봄) 을 언급해줘서 어디 한번 들어보자...하고 봤더니 (이하 인터뷰 워딩 정확하지 않음)
(바후발리2의 카타파의 출신 관련 등)
해당 작품 내에서도 카스트제도를 옹호한다는 비판이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자신이 영화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나 자신을 잃지 않는 것이라 생각한다는 식으로 넘기고,
앞서 언급한 바후발리1 비판의 경우에는...
그 (여성)캐릭터는 애초에 전사가 아니라 여자가 되고 싶었던 거다~ 이미 강한 여성 캐릭터가 있지만 관객들은 그 캐릭터 또한 강하게 만들었어도 어차피 비판했을 거다~ 그냥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 거 아니냐!
...라는 식으로 답하는 걸 보니까
내가 지금 열받은 건지 얼탄 건지 알 수가 없어서 그대로 노트북 덮고 그냥 자버렸던 기억이 있음.
하지만 열받은 거야 라자몰리 감독 개인에 관한 것 뿐이고, 다큐멘터리 자체는 굉장히 흥미롭게 봄. 대다수 이런 다큐멘터리는 다큐 대상을 무조건적으로 우상화하거나 천재성만을 강조해서 우러르는 경우가 많은데 (가령 츠네타 다이키 다큐에서 그런 느낌을 받음), 이 다큐도 그런 면모가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대상의 비판적인 측면까지 함께 다뤄주는 게 좋았던 것 같음.
라자몰리가 인도 텔루구어 영화 시장의 거장이란 건 익히 알고 있었지만, 라자몰리 감독 영화가 가족 사업이란 건 이번에 처음 알았음. 내가 좋아했던 노래가 라자몰리 형이 작곡했다는 사실도!! 그리고 라자몰리가 작품 촬영에 상당히 까다롭나 보던데...라마 라오 주니어 인터뷰까지 보니 단순 컨트롤프릭인 게 아니라 이 감독 성정도 썩 좋은 축은 못 되는 것 같다 싶었던 듯... 어째 라자몰리에 대한 악감정은 더욱 커졌지만 모순적이게도 라자몰리에 대해 더 잘 알게 된 계기가 되었구나 싶음.
아직 열받긴 하지만 심란하네...
이걸 다 보고 곱씹어보면서 난 한번 좋아하게 된 건 평생 좋아하지만 한번 정 떨어진 것도 평생 정 떨어지는 것 같다고 생각함(ㅠㅠ) 예전에는 그저 생각 없이 즐겁게 봤던 장면들이 이젠 아는 만큼 다시 보이니까 더 가슴이 차가워지는 기분이었음... 그래도 볼 수는 있지만 전만큼 돌려보지는 못할 것 같다는 감상.
시즌 3까지 나온 다큐멘터리!
직관적인 제목답게 실제 있었던 미스터리 사례들을 한 에피소드마다 담아 보여주는데, 이런 다큐를 처음 보는 것치고는 잘 만들어서 한번에 쭉 몰아봤던 듯함. 주된 에피소드는 세계(주로 미국)의 미제사건이고, UFO나 괴이현상 같은 내용도 있기는 함.
미제사건들 같은 경우에는 유족들이나 주변 사람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상황을 풀어나가는데... 그알같은 프로그램과는 달리 감정적인 면에 집중해서 보여줌. 그래서인지 보면서 한참 가슴 아팠던 것 같음......
처음으로 본 에피소드가 S3E1이었는데 그것마저 훌쩍이면서 봄...... 모든 에피소드의 엔딩은 해당 에피소드와 관련된 정보를 아는 사람들의 제보를 부탁한다는 당부의 문구로 끝남. 확실히 이 다큐시리즈가 넷플 시리즈로 나온 만큼...사건을 해결하는 데 꼭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음. 사실 이게 다큐의 주된 목적 같기도 하고.
인도 영화의 거장들 : SS 라자몰리
이건 할 말이 많아서 역시 남겨두긴 해야 할 것 같음.
우선 시작 전에 라자몰리가 누군지 간단히 소개하자면, 바후발리 시리즈와 RRR의 감독이자 봉준호의 기생충을 보다가 지루해서 잤다고 언급한 감독이다(ㅋㅋ). 톨리우드 시장의 거장이기도 하고. 그리고 나는 라자몰리의 바후발리2와 RRR을 좋아하는 축에 속함... 바후발리2의 경우에는 10회차를 넘겼으니 내 최다회차 정주행 영화일 듯.
저 두 영화를 좋아한 이유는 라자몰리가 주인공들의 웅장한 연출을 굉장히 잘 말아준다는 사유.
사실 내 경우 라자몰리 영화를 바후발리 시리즈와 RRR밖에 보지 못하긴 했지만, 그것만으로도 라자몰리의 뚝심있는 연출이나 액션 취향이 보이는데다가 노래까지 흥겹고 중독성이 있다는 점에서 호감이었음. 누군가의 취향이 짙게 묻어난 작품은 언제 봐도 즐거우니까... 그러나......
그 렇 지 만
나는......라자몰리 감독 개인을 싫어함!!!!!!!!!!!!!!!!!!
작품은 좋아하는데 감독은 싫어하다니 처음인 일도 그다지 놀라운 일도 아니지만 이 경우엔 특히나 심경이 복잡해지는 것임... 그야 이 인간은 카스트 제도 옹호론자다...
ㄴ왜 아직도 카스트 제도 옹호론자가 살아있나요?
ㄴ그러니까 말입니다
더군다나 내가 바후발리2는 추천해도 1까지 추천하지는 않는 이유가 바후발리1에서 특히 모 여성캐릭터를 그려내는 방식을 보고 굉장한 불쾌감을 느꼈기 때문임
아무튼 그렇게 라자몰리에 대한 악감정을 가지고 살아오던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 마침 23년도에 올라온 라자몰리 넷플 오리지널 다큐가 있길래 봄. 라자몰리를 싫어하면서도 왜 다큐를 봤느냐고 묻는다면, 난 라자몰리에게 일말의 기대감을 가졌던 게 아닐까?싶음. 그야 그 전까지 본 소식들이 죄다 오래된 것들 뿐이라... 지금쯤 생각을 바꾸고 사상을 고쳐먹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하면서 본 것 같음.
그러나 보기 전부터 생각을 했어야 했다... 애시당초 라자몰리의 가장 최신 작품인 RRR(22년도 작품)을 향한 무수한 호평 속에도 라자몰리가 자기 사상을 녹여담은 게 아니냐는 비판이 존재했다는 걸................ 그래서 그 당시의 내가 라자몰리에게 상당히 열받았었다는 것도........
결과적으로 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라자몰리에 대해 호감을 가졌냐고 묻는다면 단연 아니. 임.
오히려 더욱 싫어졌다는 것에 가까울 듯(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거 인터뷰어가 직접적으로 카스트제도 이야기나 바후발리1의 비판 건 (나도 몰랐는데 1에서 주인공이 모 여성캐릭터의 동의 없이 희롱한 씬이 이미 현지나 해외에서도 비판 받았던 장면이었나 봄) 을 언급해줘서 어디 한번 들어보자...하고 봤더니 (이하 인터뷰 워딩 정확하지 않음)
(바후발리2의 카타파의 출신 관련 등)
해당 작품 내에서도 카스트제도를 옹호한다는 비판이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자신이 영화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나 자신을 잃지 않는 것이라 생각한다는 식으로 넘기고,
앞서 언급한 바후발리1 비판의 경우에는...
그 (여성)캐릭터는 애초에 전사가 아니라 여자가 되고 싶었던 거다~ 이미 강한 여성 캐릭터가 있지만 관객들은 그 캐릭터 또한 강하게 만들었어도 어차피 비판했을 거다~ 그냥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 거 아니냐!
...라는 식으로 답하는 걸 보니까
내가 지금 열받은 건지 얼탄 건지 알 수가 없어서 그대로 노트북 덮고 그냥 자버렸던 기억이 있음.
하지만 열받은 거야 라자몰리 감독 개인에 관한 것 뿐이고, 다큐멘터리 자체는 굉장히 흥미롭게 봄. 대다수 이런 다큐멘터리는 다큐 대상을 무조건적으로 우상화하거나 천재성만을 강조해서 우러르는 경우가 많은데 (가령 츠네타 다이키 다큐에서 그런 느낌을 받음), 이 다큐도 그런 면모가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대상의 비판적인 측면까지 함께 다뤄주는 게 좋았던 것 같음.
라자몰리가 인도 텔루구어 영화 시장의 거장이란 건 익히 알고 있었지만, 라자몰리 감독 영화가 가족 사업이란 건 이번에 처음 알았음. 내가 좋아했던 노래가 라자몰리 형이 작곡했다는 사실도!! 그리고 라자몰리가 작품 촬영에 상당히 까다롭나 보던데...라마 라오 주니어 인터뷰까지 보니 단순 컨트롤프릭인 게 아니라 이 감독 성정도 썩 좋은 축은 못 되는 것 같다 싶었던 듯... 어째 라자몰리에 대한 악감정은 더욱 커졌지만 모순적이게도 라자몰리에 대해 더 잘 알게 된 계기가 되었구나 싶음.
아직 열받긴 하지만 심란하네...
이걸 다 보고 곱씹어보면서 난 한번 좋아하게 된 건 평생 좋아하지만 한번 정 떨어진 것도 평생 정 떨어지는 것 같다고 생각함(ㅠㅠ) 예전에는 그저 생각 없이 즐겁게 봤던 장면들이 이젠 아는 만큼 다시 보이니까 더 가슴이 차가워지는 기분이었음... 그래도 볼 수는 있지만 전만큼 돌려보지는 못할 것 같다는 감상.
+ comment